-
1.
- 누르하치 신화와 주몽신화의 비교 연구 : ‘영웅의 일대기’ 구조를 중심으로
- 서단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0 p., 2017
-
2.
- 한·몽 신화의 여성 형상 비교 : 이름과 외모, 역할의 관련양상의 중심으로
- 아시마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7 p., 2018
-
3.
- 元代 아스人(Asud)의 擡頭와 政治的 役割
- 여치호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50 p., 2010
-
4.
-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'민족개조사상'과 '몸'의 관계양상에 관한 연구
- 신정숙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51 p., 2003
-
5.
- 이기영의『고향』과 모순의『농촌삼부곡』의 비교 연구
- 조리리
-
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67p., 2011
-
6.
- 『이아주소(爾雅注疏)』에 나타난 동의어의 의미변화 연구
- 왕일리
-
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,78p, 2020
-
7.
- 카나가키 로분(假名垣魯文)의 개화기 작품에 나타난 작풍고찰 : 『서양도보여행기(西洋道中膝栗毛)』 『양반다리전골냄비(安愚樂鍋)』를 중심으로
- 이광호
-
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8 p., 2016
-
8
-
이천년 전 里耶鎭으로의 旅程과 『里耶秦簡』 簡介
-
김경호;
성균관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08,
pp.347-382)
-
9.
- 중국 항전기 낭만주의 문학 경향 연구
- 강에스더
-
高麗大學校, 국내박사,
ii, 292 p., 2017
-
10.
- 鄭振鐸 그림이야기(圖畵故事)의 ‘아동본위’ 인식 연구 : 『兒童世界』를 중심으로
- 권애영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[viii], 307 p., 20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