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봉래곡 별편(蓬萊曲別篇)』이 지옥행(地獄行)이 된 이유
-
야노다카요시;
세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2,
pp.329-344)
-
2.
- 『銀河英雄傳說』 등장인물의 이데올로기
- 강성환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31 p., 2009
-
3
-
무라카미 하루키(村上春樹)문학에서의 재해(災害) - 『개구리 군 도쿄를 구하다(かえるくん、東京を救う)』를 중심으로 -
-
정승운;
전남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4,
pp.123-150)
-
4.
- 일본의 근대적 질병관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에 관한 고찰 - 일제하 한센(癩)병에 관한 정책과 그 실천을 중심으로
- 趙明來
-
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74, 2005
-
5.
-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 실태조사 및 분석 : 광주?전남지역을 중심으로
- 문현국
-
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, 66 p., 2007
-
6.
- Labor management practices at the fushun coal mines of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mpany : An examination of chainges in hotou system
- 유병부
-
九州大學大學院, 국외박사,
vi, 228p., 2002
-
7
-
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『왕생그림두루마기(往生絵巻)』론 -믿음을 중심으로-
-
송현순;
우석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1,
pp.281-300)
-
8
-
『전등신화』(剪燈新話)의 전래와 동아시아 -일본, 조선, 베트남의 번안과 금기의 극복-
-
김영호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1,
pp.79-98)
-
9.
- 電線着雪對策決定支援エキスパ-トシステムの開發に關する硏究
- 최규형
-
北海道大學, 국외박사,
viii, 130p., 1991
-
10.
- 교겐(狂言)의 등장인물에 나타난 喜劇性 硏究
- 이정은
-
경상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71장, 20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