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437건 중 1,000건 출력
, 99/100 페이지
-
981.
- 《창란결》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: 서사구조와 댓글 분석
- 왕재욱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91 p., 2024
-
982
-
은폐된 제휴관계와 식민지 지식인의 원죄의식 - 이태준의 『제2의 운명』을 중심으로 -
-
;
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6,
pp.5-35)
-
983.
- 윤대녕 단편소설에 나타나는 모티프 연구 : 여행· 여성· 동물을 중심으로
- 원승종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88 p., 2015
-
984.
- 옥수기의 창작 방식 연구
- 김민혁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65 p., 2023
-
985.
- 다매체를 활용한 전쟁체험서사 교육 방안 연구 : 윤흥길의 「장마」를 중심으로
- 이미해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i, 146 p., 2010
-
986
-
『마음의 죽음』: 엘리자베스 보웬의 삶의 비전에 관한 서사
-
진명희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37,
2010,
pp.405-431)
-
987.
- 웹소설의 문화다이아몬드 : 문학장과 독자 특성을 중심으로
- 서영인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0 p., 2022
-
988
-
⟨명주보월빙⟩ 연작에 나타난 당호(堂號)의 양상과 서사적 기능
-
이은경;
충북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21,
pp.149-181)
-
989.
- 신경숙 소설에 나타난 공간의식 연구
- 김선미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i, 90 p., 2012
-
990.
- 학습자의 정서 반응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소설 교육 방안 : 「메밀꽃 필무렵」을 중심으로
- 이윤빈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2 p., 20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