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438건 중 1,000건 출력
, 98/100 페이지
-
971
-
李荇의 和韻詩集 ?和朱文公南嶽唱酬集? 硏究
-
이의강;
한국예술종합학교;
(漢文學報,
v.14,
2006,
pp.105-133)
-
972
-
통일전환기의 시적 극복. 두어스 그륀바인의 두개골 밑바닥 학습에 대하여
-
전영애;
서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6,
2005,
pp.63-76)
-
973.
- 어휘 변천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교육 방안 연구 : '혼인'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
- 박현수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9p, 2019
-
974
-
기획논문: 金澤榮의 松都 복원 작업의 의미 -방법으로서의 디아스포라- /논평:정환국
-
김승룡;
부산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6,
pp.105-138)
-
975
-
양문규, 이강산, 정우영 시에 나타난 집의 의미
-
장정렬;
대전대학교;
(한남어문학,
v.45,
2024,
pp.39-54)
-
976.
- 정지용 시에 나타난 육화적 이미지 연구
- 전세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7
-
977
-
환성 지안을 기억하는 문학적 방식- 통도사 백련암과 환성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-
-
김종진;
동국대학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19,
pp.59-87)
-
978
-
北宋 文人들의 石延年에 대한 평가 연구 - <石曼卿詩集序>를 중심으로 -
-
이승신;
한국공학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3,
pp.31-52)
-
979
-
신대철 시 연구-분단의 고통에서 분단 극복의 갈망으로
-
손필영;
국민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3,
2021,
pp.511-533)
-
980
-
『오뇌의 무도』 재판(1923)에 대하여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21,
pp.177-2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