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327건 중 1,000건 출력
, 97/100 페이지
-
961
-
고전문학교육으로서의 고전작가론- 서거정(徐居正)을 중심으로 하여
-
김성룡;
호서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4,
2012,
pp.125-164)
-
962
-
<옥갑야화(玉匣夜話)> ‘서두 이야기’의 서사 전략과 문제의식
-
박일용;
홍익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17,
2009,
pp.309-347)
-
963
-
죽음의 문학적 전통과 유서(遺書)-유형별 특징을 중심으로-
-
이홍식;
한양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3,
2012,
pp.267-299)
-
964
-
<방한림전>의 비극성과 타자(他者) 인식
-
정병헌;
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부;
(고전문학과 교육,
v.17,
2009,
pp.373-399)
-
965
-
玉所 權燮의 「夢記」에 대한 고찰
-
曺永任;
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;
(고전문학과 교육,
v.17,
2009,
pp.401-430)
-
966
-
아랑설화에서 드라마 <아랑사또전>에 이르는 신원 대리자의 특징과 그 의미
-
하은하;
서울여자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8,
2014,
pp.321-350)
-
967
-
<옹고집전>에 나타난 개인의 형성과 그 의미
-
박윤선;
서울시립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6,
2013,
pp.173-195)
-
968
-
고전산문교육 연구의 반성과 전망
-
배수찬;
울산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18,
2009,
pp.41-68)
-
969
-
鄭世規의 燕行日記에 대한 일고찰
-
조영임;
충북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4,
2012,
pp.299-341)
-
970
-
설화 <내 복에 산다>의 재창작을 통한 탈북 청소년의 문해력 신장 사례 연구
-
나지영;
건국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3,
2012,
pp.151-1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