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98건 중 1,000건 출력
, 97/100 페이지
-
961
-
동편제 ⟨적벽가⟩의 전승과 변모
-
명현;
국립민속국악원;
(판소리연구,
v.0,
2006,
pp.55-106)
-
962
-
行樂 연주 악대의 종류와 성격-궁중·관아·군영을 중심으로-
-
이숙희;
국립남도국악원;
(한국음악연구,
v.35,
2004,
pp.157-182)
-
963
-
사이버 공간에서 민요자료의 존재양상과 학술적 활용 시각
-
박정경;
국립민속국악원;
(한국민요학,
v.19,
2006,
pp.163-206)
-
964
-
평조와 계면조의 음정 연구: 박종선류 아쟁산조를 중심으로
-
정경조;
국립부산국악원;
(음악과 현실,
v.0,
2015,
pp.227-258)
-
965
-
김일구. 서용석류 아쟁산조 비교 연구: 산조 형성과 계승에 관련하여
-
김용호;
국립남도국악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16,
pp.373-419)
-
966
-
「현악영산회상」과 「평조회상」의 선후(先後)관계에 대한 연구
-
정경조;
국립부산국악원;
(음악과 현실,
v.0,
2013,
pp.237-264)
-
967
-
「국악진흥법」 제정의 의의와 향후 과제
-
문승호;
국립부산국악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4,
pp.145-166)
-
968
-
디지털 시대 축제성 회복 가능성 모색
-
김추자;
국립부산국악원;
(영남춤학회誌,
v.3,
2015,
pp.107-127)
-
969
-
영남지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 고찰
-
김현숙;
국립부산국악원;
(영남춤학회誌,
v.3,
2015,
pp.39-58)
-
970
-
황무봉춤에 나타나는 심미(審美)적 특성 연구 - 흥무,즉흥무,산조춤을 중심으로 -
-
배민지;
국립부산국악원;
(영남춤학회誌,
v.6,
2018,
pp.1-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