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7,411건 중 1,000건 출력
, 96/100 페이지
-
951.
- 도시 간 기능적 네트워크가 비수도권 축소도시에 미치는 영향
- 신학철
-
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45 p., 2023
-
952
-
도시 복합용도시설에 나타난 건축적 ‘공공성’의 특성에 관한 연구 : 일본 복합용도시설을 중심으로
-
이효창;
박정아;
하미경;
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박사수료;
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석사과정;
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교수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24,
2008,
pp.181-191)
-
953
-
도시의 정체성 <PART II> ③ 서울의 도시 어휘들 III
-
김선아;
(주)스페이싱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653,
2023,
pp.108-112)
-
954
-
최정례 시에 나타난 도시 공간의 양상과 의미
-
백선율;
가천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25,
2024,
pp.121-156)
-
955.
- 우리나라 도시 브랜드슬로건의 현황과 특성 연구
- 이소영
-
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7 p., 2013
-
956
-
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기업주의 도시 프로젝트
-
최병두;
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;
(한국경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,
v.14,
2011,
pp.263-285)
-
957
-
'도시 생활교통 혼잡도로 개선사업'의 대도시 적용사례 분석 - 인구 100만인 이상 9개 도시를 중심으로 -
-
김영일;
이재균;
(주)다산컨설턴트;
(주)다산컨설턴트;
(도로 : 도로학회지,
v.16,
2014,
pp.19-25)
-
958
-
대도시권 시대의 도시정책을 위한 기초지자체 유형 구분
-
김근영;
강남대학교 부동산건설학부;
(도시과학= Journal of urban science,
v.9,
2020,
pp.21-30)
-
959
-
지역 고유의 자산을 활용한 도시 및 지역의 재생
-
박양호;
;
(도시정보 = Urban information service,
v.2012,
2012,
pp.2-2)
-
960
-
코로나19가 도시 공간에 미친 영향
-
김종성;
김걸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도시지리학회지,
v.26,
2023,
pp.119-1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