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873건 중 1,000건 출력
, 95/100 페이지
-
941
-
동진시기 봉불사대부의 유불일치론과 그 의의 − 孫綽을 중심으로 −
-
손진;
동국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0,
2020,
pp.169-190)
-
942
-
불교와 죽음 그리고 죽음교육
-
정재걸;
대구교육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8,
pp.107-138)
-
943
-
담초(譚峭) 생명사상의 현대적 가치
-
이승모;
안동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0,
2015,
pp.67-94)
-
944
-
劉一明의 『象言破疑』와 眞理認識
-
조민환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0,
2015,
pp.221-245)
-
945
-
다산 『대학』 해석의 경학사적 위상
-
이영호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0,
2016,
pp.43-75)
-
946
-
‘신묵학新墨学’, ‘신묵가新墨家’와 ‘신원묵학新元墨學’
-
장몽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21,
pp.373-401)
-
947
-
李忠翊의 ‘假論’ — 이탁오 眞假論, 정제두 假論과의 비교 —
-
김윤경;
원광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3,
pp.201-221)
-
948
-
주자학이 전근대의 대표이념이 되기까지 ― 후쿠자와 유키치와 이노우에 데쓰지로의 유학을 둘러싼 공방 ―
-
이혜경;
서울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21,
pp.335-372)
-
949
-
맹자 권도론의 덕 윤리학적 함축
-
정용환;
순천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2,
pp.57-94)
-
950
-
명재 윤증과 서계 박세당의 격물 논변
-
김세정;
충남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8,
pp.7-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