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873건 중 1,000건 출력
, 94/100 페이지
-
931
-
朱子철학에서 ‘物’의 의미에 대한 小考
-
김재경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6,
pp.169-202)
-
932
-
諸註釋을 통해 본 『論語』 經文의 解釋學的 理解[6]
-
김용재;
성신여자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5,
pp.7-43)
-
933
-
四七論의 해체와 善의 일원화
-
홍성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0,
2018,
pp.7-37)
-
934
-
토미즘과 비교를 통해서 본 혜강 최한기 인식론의 특징
-
안영상;
고려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7,
pp.7-45)
-
935
-
『周易』의 窓으로 본 社會統合의 智慧
-
김재홍;
충남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3,
pp.29-53)
-
936
-
맹자 지언(知言)의 도덕교육적 함의
-
이상호;
경상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0,
2019,
pp.223-258)
-
937
-
『律呂新書』의 번역⋅교감⋅주석 고찰
-
김병애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2,
pp.299-336)
-
938
-
맹자의 내면화기획을 통한 유학윤리 정초 — ‘義’개념을 중심으로 —
-
금종현;
한신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3,
pp.253-283)
-
939
-
청말 춘추공양학을 통해본 초기 근대의식
-
천병돈;
노병렬;
대진대학교;
대진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0,
2015,
pp.247-272)
-
940
-
동아시아적 공간과 생성의 문제
-
이명수;
부산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4,
pp.207-2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