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314건 중 1,000건 출력
, 94/100 페이지
-
931
-
알폰소 바뇨니(Alfonso Vagnoni)의 『동유교육(童幼敎育)』 고찰: 스콜라주의(scholasticism)와 『영신수련(靈神修鍊)』의 관점
-
김학준;
신창호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3,
2021,
pp.77-103)
-
932
-
고대 아테네 시민교육 연구: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을 중심으로
-
장지원;
충남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2,
2020,
pp.165-186)
-
933
-
유물론에 기초한 교육학의 본질적 성격과 그 현재적 함의: 감과 코네프케의 교육이론을 중심으로
-
홍은영;
전남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3,
2021,
pp.175-208)
-
934
-
니체의『선악의 저편』에 나타난 학문 비판과 미래 철학 논의의 교육적 함의
-
김재춘;
영남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2,
2020,
pp.59-83)
-
935
-
기계도 행위할 수 있는가? : 브루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(actor-network theory)을 중심으로
-
박은주;
서울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2,
2020,
pp.1-26)
-
936
-
듀이의 다원적 실재론에 관한 연구: 비위계적 교사-학생 관계의 철학적 근거
-
최훈;
전북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4,
2022,
pp.125-150)
-
937
-
맥그린치 신부 실천 활동의 교육적 의미와 인성교육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
-
김경주;
홍미선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교육센터;
(교육철학연구,
v.44,
2022,
pp.1-26)
-
938
-
OECD Education 2030 역량기반 교육의 한계와 가능성 : 존재론적 자유교육 관점에서의 탐색
-
홍지희;
성균관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5,
2023,
pp.125-147)
-
939
-
교육적 활동으로서 고백: 아우구스티누스의『고백록』을 중심으로
-
이정인;
연세대학교(미래캠퍼스)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;
(교육철학연구,
v.45,
2023,
pp.133-149)
-
940
-
들뢰즈의 ‘감각을 그리는 활동’으로서의 회화 예술과 교육의 관계: 『감각의 논리』를 중심으로
-
김재춘;
영남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3,
2021,
pp.29-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