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314건 중 1,000건 출력
, 93/100 페이지
-
921
-
반성적 교사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- Foucault의 관점에서 Schön의 반성론 읽기 -
-
정윤경;
전주교육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0,
2008,
pp.195-219)
-
922
-
듀이의 상황 개념에 대한 교육현상학적 이해
-
김무길;
성균관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0,
2007,
pp.33-59)
-
923
-
아리스토텔레스의 ‘자연적 덕’과 ‘성품적 덕’ 개념을 통해 본 ‘선한 이’의 도덕적 지각
-
정경화;
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;
(교육철학연구,
v.37,
2015,
pp.137-156)
-
924
-
신자유주의와 탈학교 사회 그리고 한국 ‘생물(生物)여성’ 영성의 교육
-
이은선;
세종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0,
2009,
pp.81-111)
-
925
-
플라톤의 『법률』 전문(prooimion)의 교육적 의의
-
장지원;
경민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36,
2014,
pp.193-217)
-
926
-
역사적 담론으로서의 인성교육론
-
최승현;
고려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37,
2015,
pp.179-197)
-
927
-
소크라테스와 칸트 ‘반성’ 개념의 교육적 함의
-
김명숙;
서울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0,
2008,
pp.45-62)
-
928
-
교육이론으로서의 플라톤 변증법
-
홍윤경;
이화여자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0,
2007,
pp.123-140)
-
929
-
‘교과언어’의 소외는 어떻게 불평등한 교실문화를 만드는가? : 미적 언어의 이해와 적용을 통한 극복 방안을 탐색하며
-
최진;
서울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2,
2020,
pp.81-109)
-
930
-
시민교육의 한국적 특수성과 그 이율배반적 측면에 대한 검토: 시민성 개념을 중심으로
-
김주환;
동국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4,
2022,
pp.31-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