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4건 중 124건 출력
, 9/13 페이지
-
81
-
조선 후기 정재의 창작 유형에 관한 연구 - 순조 조 23종 정재를 중심으로 -
-
권명주;
청운대학교;
(한국무용연구,
v.42,
2024,
pp.1-23)
-
82.
- 朝鮮時代 呈才의 樂政에 관한 硏究 : <朝鮮王朝實錄>을 中心으로
- 이희병
-
용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178p., 2005
-
83
-
19세기 조선왕실 능·원의 천봉(遷奉)과 석물의 제작
-
전나나;
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;
(미술사학연구,
v.319,
2023,
pp.273-305)
-
84.
- 呈才舞圖笏記 장생보연지무와 現行 장생보연지무 비교 연구
- 배수현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iv, 77장, 2019
-
85
-
1839년(헌종 5) ‘己亥邪獄’의 전말과 그 추이 -서양인[洋漢]·劉進吉 추국 사건을 중심으로-
-
김정자;
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;
(한국학논총,
v.61,
2024,
pp.383-428)
-
86
-
조선 왕실 의례 속의 여성과 한글 문헌의 역할- 1827년의 존숭례와 진작례를 중심으로
-
김봉좌;
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3,
pp.45-77)
-
87.
- 조선 進宴 의례 연구 : 주권의 재현을 중심으로
- 이철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, 176 p., 2013
-
88.
- 朝鮮後期 露衣에 관한 硏究 : 淸衍郡主 出土服을 中心으로
- 이성희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77p., 2003
-
89
-
『純祖戊子進爵儀軌」에서 「鄕唐交奏」 雅名의 문헌적 연구 - 자경전 내진작의 「향당교주」 아명과 동일한 중국의 악곡명을 중심으로-
-
박정련;
영남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11,
pp.509-533)
-
90
-
조선시대 禮葬都監의 성격과 역사적 추이
-
김윤정;
연세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7,
pp.168-1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