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1건 중 141건 출력
, 9/15 페이지
-
81
-
‘전후’(1954~1965) 한국사회의 현대성 인식과 생활양식의 재구성
-
허은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4,
pp.287-326)
-
82
-
미 점령군 통치하 ‘문명과 야만’의 교차
-
허은;
고려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07,
pp.151-186)
-
83
-
1969~1971년 국내외 정세변화와 학생운동세력의 현실인식
-
허은;
고려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09,
pp.145-173)
-
84
-
냉전시대 미국의 민족국가 형성 개입과 헤게모니 구축의 최전선 : 주한미공보원 영화
-
허은;
고려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11,
pp.139-169)
-
85
-
냉전시대 남북 분단국가의 문화정체성 모색과 ‘냉전 민족주의’
-
허은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1,
pp.209-243)
-
86
-
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박정희정부의 ‘대공새마을’ 건설
-
허은;
고려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5,
pp.293-326)
-
87
-
기록영상물의 공공재화와 영상역사 쓰기―‘제국-국민국가’ 서사를 넘어서
-
허은;
고려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4,
pp.324-355)
-
88
-
유신시대학생, 모의 수류탄을 던지다: 총력안보체제 구축과 군사동원된 신체
-
허은;
고려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2,
pp.12-41)
-
89
-
미국의 헤게모니와 분단국가 자율성의 결절점
-
허은;
고려대학교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06,
pp.277-312)
-
90
-
1950년대 미국의 대한 교육교환 계획과 한국사회 엘리트의 친미화
-
허은;
수원대학교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44,
2005,
pp.229-2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