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12건 중 412건 출력
, 9/42 페이지
-
81
-
1950년대 오락잡지에 나타난 대중소설의 판타지와 문화정치학-『명랑』의 성애소설을 중심으로
-
김현주;
한양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0,
2013,
pp.83-116)
-
82
-
게임소설 연구
-
고훈;
연세대학교 인문예술대학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5,
2019,
pp.111-134)
-
83.
- 판타지 서사의 인문학적 함의
- 임효준
-
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5, 2024
-
84
-
『산해경·오장산경』 수해 캐릭터 유형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
-
무은붕;
임희경;
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;
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;
(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=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,
v.40,
2023,
pp.355-362)
-
85
-
판타지 소설에 활용된 ‘마법’의 철학적 의미와 기능— ⟨어스시의 마법사⟩를 중심으로
-
안숭범;
최혜실;
경희대학교;
경희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2,
pp.451-480)
-
86
-
천 개의 거울로 둘러싸인 공중정원판타지 소설과 영상의 접점, ?반지의 제왕?의 경우
-
김용희;
평택대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02,
pp.137-168)
-
87.
- 판타지 장르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: 『반지의 제왕』시리즈를 중심으로
- 김도경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, 113 p., 2017
-
88
-
아동소설 『마틸다』(Matilda) : 분리불안과 학교공포증의 치유를 위한 아동의 심리적 판타지
-
이영준;
한남대학교 응용영어콘텐츠학과 교수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24,
pp.203-228)
-
89
-
재난서사에 나타난 대안적 가족서사와 가족판타지 -2010년대 이후 소설을 중심으로-
-
김지윤;
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22,
pp.49-81)
-
90.
- 한국 웹소설의 서사세계 연구 : <현대판타지> 장르를 중심으로
- 박지희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27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