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5건 중 125건 출력
, 9/13 페이지
-
81
-
한국근대소설 형성 동인으로서의 번역ㆍ번안 - 근대초기 번역ㆍ번안소설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
-
강현조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2,
2012,
pp.7-39)
-
82
-
사무엘 윌리엄스의 《聊齋志異》번역 고찰
-
최형섭;
경상국립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23,
pp.121-150)
-
83.
- 박종화의 일제 강점기 역사소설의 작가 의식 연구
- 문혜주
-
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72 p., 2009
-
84.
-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소외와 극복 양상 연구 : 『표류도』와『김약국의 딸들』중심으로
- 노명해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73p., 2010
-
85.
- 엄흥섭 소설 연구
- 장명득
-
경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35, 2006
-
86
-
김태준(金台俊)과 궈모뤄[郭沫若] ― 한 고전학자의 인식론적 전환의 계기
-
이용범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4,
pp.419-451)
-
87.
- 이청준 『이어도』의 서사담론
- 이정원
-
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3p., 2007
-
88
-
고전소설의 무덤 활용양상과 문학적 기능
-
경일남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58,
2008,
pp.161-180)
-
89.
- 이청준 소설의 신화성 연구
- 송수경
-
세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93p, 2012
-
90.
- 1920년대 초 한·중 소설의 자연주의 양식의 수용과 변용 연구 : 염상섭의 「표본실의 청개구리」와 위다푸(郁達夫)의 「침륜(沈倫)」의 비교를 중심으로
- 대흔여
-
서울시립대학교, 국내석사,
ii, 79장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