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9/19 페이지
-
81
-
白雲 沈大允의 『禮記正解』에 관한 일고찰 - 19세기 人本主義的 禮 本義의 전개 양상의 파악을 중심으로
-
장병한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23,
2009,
pp.277-306)
-
82
-
일제강점기 ‘민족성과 儒學의 관계성’ 담론을 통한 ‘한국적 儒學’(얼儒學) 試論 -다카하시 도루,신채호,정인보의 담론을 중심으로 -
-
권상우;
신라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11,
pp.277-314)
-
83
-
박은식과 정인보의 자아와 주체관 연구 - 진아(眞我)론과 실심(實心)론의 철학적 성격을 중심으로
-
김우형;
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근대한국학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48,
2022,
pp.213-240)
-
84
-
일제말 종교계의 개혁적 신정론 연구 정인보와 함석헌을 중심으로
-
이황직;
연세대학교;
(한국사회학,
v.37,
2003,
pp.7-170)
-
85
-
정인보의 조선 유교와 한국 고대사 인식-「오천년간 조선의 얼」을 중심으로
-
류시현;
광주교육대학교;
(공존의 인간학,
v.0,
2019,
pp.103-138)
-
86
-
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·안재홍安在鴻·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
-
박홍식;
대구한의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10,
pp.45-93)
-
87
-
일제 강점기 신문을 통해 본 실학연구 동향
-
박홍식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4,
2008,
pp.217-237)
-
88
-
[양명학연론] 및 그 재출간본들의 오류 연구
-
한경애;
신안산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21,
pp.139-165)
-
89
-
위당 정인보의 교유 관계와 교유의 배경 - 백낙준・백남운・송진우와의 교유 관계를 중심으로 -
-
윤덕영;
국사편찬위원회;
(동방학지,
v.0,
2016,
pp.35-73)
-
90
-
한문학 연구와 20세기 문화 권력
-
김진균;
성균관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51,
2018,
pp.35-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