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96건 중 296건 출력
, 9/30 페이지
-
81
-
통합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‘좋은 친구’ 활동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
김동현;
전병운;
이지선;
창문여자고등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 대학원;
(통합교육연구,
v.10,
2015,
pp.1-34)
-
82
-
자폐성 장애아동의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(PECS)에 관한 단일대상연구의 동향: 1990년~2011년
-
정은혜;
임경원;
전병운;
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8,
2012,
pp.243-276)
-
83
-
순회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의소외에 대한 체험들
-
이경태;
문상진;
전병운;
;
(열린교육연구,
v.24,
2016,
pp.171-198)
-
84
-
배지최적화를 통한 재조합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에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유래 γ-글루타밀펩타이드전달효소의 대량생산
-
조혜빈;
제텐드라 쿠마르 로이;
박우진;
전병운;
김영완;
고려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생명공학과;
고려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생명공학과;
(주)농심 중앙연구소;
(주)농심 중앙연구소;
고려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생명공학과;
(한국식품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,
v.49,
2017,
pp.610-616)
-
85
-
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의 연계성 연구
-
신경진;
고진복;
전병운;
엄사초등학교;
대전성세재활학교;
공주대학교;
(통합교육연구,
v.7,
2012,
pp.1-20)
-
86
-
유아용 발달 선별도구 (DIAL-3)의 한국형 표준화 연구
-
전병운;
조광순;
이준석;
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0,
2004,
pp.95-121)
-
87
-
ADHD 아동과 일반아동 간 읽기특성 비교
-
권회연;
전병운;
오혜정;
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6,
2010,
pp.165-183)
-
88
-
뇌성마비인을 위한 보완․대체의사소통체계 연구 동향 분석
-
이윤숙;
임경원;
전병운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지체.중복.건강장애연구,
v.55,
2012,
pp.127-157)
-
89
-
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및 개선 방안
-
조광순;
홍은숙;
전병운;
박혜준;
공주대학교;
나사렛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;
(특수교육연구,
v.12,
2005,
pp.339-370)
-
90
-
유아 발달 선별도구(DIAL-3)의 표준화를 위한 타당화 연구
-
전병운;
조광순;
이기현;
이은상;
임재택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대구대학교;
안양대학교;
부산대학교;
(유아교육연구,
v.24,
2004,
pp.119-1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