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759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일제시기 조선 자치운동의 논리
-
이나미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6,
pp.419-457)
-
82
-
The Formation of the “Film World” and Birth of the “Cineaste” in Colonial Korea
-
Lee, Ha-Na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88,
2020,
pp.73-114)
-
83.
- 일제시기 스케치사진의 생산과 향유 : 『동아일보』를 중심으로
- 정은아
-
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71p., 2022
-
84
-
일제시기 행려병인 제도의 형성과 전개
-
예지숙;
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역사학연구,
v.0,
2021,
pp.337-362)
-
85
-
일제 시기 천주교회의 여성 인식과 여성 교육
-
신영숙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19,
2002,
pp.89-125)
-
86
-
The Status of Stowaway of Koreans and the Destination of Stowaway Sh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
-
Kim, Seung;
;
(역사와경계 = History & the Boundaries,
v.124,
2022,
pp.245-306)
-
87
-
일제시기 조선사 편수와 만선사적 고구려사의 역설
-
김일권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1,
2011,
pp.75-111)
-
88
-
일제시기 부산지역 일본인사회의 인구와 사회계층구조
-
홍순권;
;
(역사와경계 = History & the Boundaries,
v.51,
2004,
pp.43-73)
-
89
-
Development of the Janghang(長項) por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, and Its results
-
Bae, Suk-man;
;
(역사와 현실,
v.117,
2020,
pp.363-398)
-
90.
- 일제시기 관사의 온돌 수용에 관한 연구
- 백윤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53 p.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