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59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전통지향과 근대지향의 간극을 넘어서 ‒가람 이병기의 근대의식‒
-
이경애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69,
2018,
pp.213-246)
-
82
-
흑색비닐 멀칭 및 파종기가 여름콩 생육 및 미이라병 이병에 미치는 영향
-
주용하;
오정행;
정길웅;
단국대학교 농과대학;
단국대학교 농과대학;
단국대학교 농과대학;
(한국작물학회 1996년도 춘계 학술대회지,
v.1996,
1996,
pp.104-105)
-
83
-
근대 시인의 한시 국역 양상과 율격적 특징 - 최남선, 김억, 이병기를 중심으로 -
-
장보;
이찬욱;
중앙대학교;
중앙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22,
pp.151-181)
-
84
-
일제강점기 경남 밀양군 이병곤李炳鯤의 질병과 한의학 치료 —『퇴수재일기退修齋日記』(1906~1948)를 중심으로
-
손경희;
금오공과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23,
pp.299-331)
-
85
-
문학이란 무엇인가 - 도남 조윤제와 가람 이병기의 해방 후 문학사 다시 읽기
-
장문석;
서울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15,
pp.55-90)
-
86
-
한글의 텍스트성(textuality)과 ‘읽는 時調’ : 가람 이병기의 한글운동과 시조혁신운동
-
정주아;
강원대학교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47,
2019,
pp.251-274)
-
87
-
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(ASP) 모델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
-
이병기;
;
(한국비블리아학회지,
v.12,
2001,
pp.25-42)
-
88
-
시와 시가의 경계에서 기획된 조선 시형이라는 이념 : 이병기, 안확, 김억의 논의를 중심으로
-
김남규;
고려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36,
2017,
pp.313-348)
-
89
-
서지학자로서의 가람(嘉藍) 이병기(李秉岐) 연구 - 『가람일기』에 나타난 고서 수집 및 거래를 중심으로 -
-
이민희;
강원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1,
pp.193-227)
-
90
-
여행기에 반영된 문명론의 자의식: 이병한의 『유라시아 견문』 3부작을 중심으로
-
전성욱;
동아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20,
pp.413-4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