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81.
- 일상문화적 관점을 통한 도시노후주거지역의 장소성 분석 :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3동 와우산 일대를 사례로
- 김상철
-
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xi, 130 p., 2012
-
82.
-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을 위한 광주지역 문화전문인력 양성정책 연구
- 오영이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147, 2021
-
83.
- 장소성 형성을 위한 버스정류장의 공공디자인 요소 연구
- 윤영애
-
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ⅶ, 87 p., 2010
-
84.
- 관람객의 서비스품질 인식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: -제10회 광주비엔날레를 중심으로
- 이혜진
-
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113, 2015
-
85.
- 지역문화예술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민간문화예술단체의 역할 : 구미시 '문화창작집단 공터_다'를 중심으로
- 유신애
-
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165 p., 2014
-
86.
- 광주광역시 충장로 장소성 분석 : -도시설계 6가지 차원을 활용하여-
- 하혜지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147, 2017
-
87.
- 담양의 장소성을 반영한 숙박시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
- 윤석영
-
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133, 2015
-
88.
- 장흥동학농민혁명의 기억의 장소 연구
- 박형모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107, 2019
-
89.
- 전통시장 야시장 체험요소가 MZ세대의 장소이미지, 장소애착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: 대인예술야시장을 중심으로
- 김희원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127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