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,454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의 구상나무숲 내 주요 하층식물이 구상나무 유묘 발생에 미치는 상관성 분석
-
이종원;
이수홍;
임원택;
강신호;
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;
세명대학교 대학원;
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세명대학교 대학원;
(韓國資源植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,
v.34,
2021,
pp.491-501)
-
82
-
객관적인 척하는 기술이 필요 없는 책 : 김창우, 『애도하지 마라 조직하라』(회화나무, 2020)
-
장, 귀연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27,
2020,
pp.247-257)
-
83
-
海岸林의 곰솔이 아까시나무에 미치는 Allelopathy 效果
-
金善姬;
李景俊;
金君保;
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91,
2002,
pp.362-371)
-
84
-
이연 外 지음, 일본 대중문화 베끼기 : 나무와 숲 (1998. 12)
-
박강우;
;
(저널리즘비평 = The Korean journalism review,
v.27,
1999,
pp.98-99)
-
85
-
단근이 복숭아 나무의 생육과 과실에 미치는 효과
-
최동근;
;
(원예과학기술지 =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& technology,
v.22,
2004,
pp.448-452)
-
86
-
온도 및 염화나트륨이 측백나무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
-
탁우식;
김태수;
최충호;
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;
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;
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;
(韓國資源植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,
v.19,
2006,
pp.97-104)
-
87
-
소나무의 근계특성이 사면안정화에 미치는 영향
-
서동준;
김세건;
김동근;
신록산림;
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산림환경자원전공;
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산림환경자원전공;
(Journal of forest science,
v.26,
2010,
pp.193-202)
-
88
-
변수선택 편향이 없는 회귀나무를 만들기 위한 알고리즘
-
김진흠;
김민호;
수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통계정보학과;
수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통계정보학과;
(응용통계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,
v.17,
2004,
pp.459-473)
-
89
-
국내산 파티클보드에 대한 나무못의 직경과 천공여척이 나무못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
-
김범준;
차재경;
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;
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;
(한국가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,
v.28,
2017,
pp.53-59)
-
90
-
초고압 기술이 자작나무 수액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
-
최경화;
김순임;
이동욱;
전정태;
(주)우양냉동식품 중앙연구소;
(주)우양냉동식품 중앙연구소;
(주)우양냉동식품 중앙연구소;
(주)우양냉동식품 중앙연구소;
(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,
v.24,
2017,
pp.343-3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