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9/74 페이지
-
81
-
근현대(近現代) 유(儒)・불(佛) 효의례(孝儀禮)의 검토(檢討) - 제사(祭祀)・재(齋)의 간소화와 대중화 방안을 중심으로 -
-
명계환;
동국대학교;
(불교문예연구,
v.17,
2021,
pp.411-441)
-
82
-
조선 15~17세기 수륙재(水陸齋)에 대한 유신(儒臣)의 기록과 시각 매체
-
정명희;
국립중앙박물관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3,
2020,
pp.184-203)
-
83.
- 高麗前期 重農理念과 農耕議禮
- 한정수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22p., 2004
-
84
-
법 : 사상과 규범 - 유고적 법사상사의 지평을 찾아서
-
이재룡;
;
(국학연구,
v.3,
2003,
pp.277-303, 457-458)
-
85
-
영조·정순왕후 가례에 사용된 보자기의 상징성과 생활문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
-
김효주;
주영애;
성신여자대학교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;
성신여자대학교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8,
2018,
pp.353-365)
-
86.
- 朝鮮初期 國喪儀禮의 거행양상과 제도정비
- 이윤섭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63 p., 2013
-
87.
- 통과의례를 통한 기독교 가정교육 연구
- 박용규
-
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80 p., 2013
-
88.
- 조선 후기 祭祀圖 연구
- 정현
-
慶州大學校, 국내박사,
vii, 208 p., 2017
-
89.
- 세례와 타종교 의식의 비교연구
- 한경국
-
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5p., 2004
-
90
-
지역사회 의례의 전승에 관한 연구 - 경북 군위군 효령면의 두 의례를 중심으로
-
이창언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39,
2009,
pp.97-1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