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9/11 페이지
-
81
-
『맹자(孟子)』 : 민(民)과 국가(國家)의 긴장 - 여민(與民) 경세론(經世論)의 성격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20,
pp.85-114)
-
82
-
『사기』와 『역사』에 담긴 기록학의 기초: 역사-인간[Homo Historicus], 사마천과 헤로도토스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기록학연구,
v.0,
2020,
pp.365-396)
-
83
-
광해군대 경제정책에 대한 교과서 서술-대동법과 양전을 중심으로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17,
pp.89-128)
-
84
-
‘사이비 역사학’의 평범성에 대하여 - 역사학의 전문성을 위한 단상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19,
pp.115-141)
-
85
-
「전제상정소준수조획(田制詳定所遵守條劃)」의 재검토 - 성립 과정과 ‘척’ 개념을 중심으로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古文書硏究,
v.63,
2023,
pp.111-134)
-
86
-
묵재(默齋) 이귀(李貴)의 관력과 정치 활동 -좌천(左遷), 유배(流配)와 반정(反正) 시기를 중심으로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24,
pp.69-100)
-
87
-
공유지(the Commons), 문명사 전환의 키워드
-
오항녕;
전주대;
(생태환경과 역사,
v.0,
2023,
pp.149-187)
-
88
-
17세기 초반 秋浦 黃愼의 정책과 경세론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23,
pp.117-146)
-
89
-
조선시대 일상과 피난, 그리고 공유지(共有地) -오희문(吳希文)의 『쇄미록(瑣尾錄)』에 나타난 생존과 생계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5,
pp.7-32)
-
90
-
2020년 간행(2018년 교육과정)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조선사 서술 검토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20,
pp.117-1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