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525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5`4 신문학(新文學)과 1930년대 중국 영화
-
姜啓哲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연구,
v.31,
2003,
pp.29-499)
-
82
-
한국 가족치료의 현장과 인력 : 전국기관 조사연구
-
이선혜;
신영화;
서진환;
;
(한국가족치료학회지 = Family and family therapy,
v.13,
2005,
pp.79-123)
-
83.
-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 영화에서 나타나는 그로테스크의 정치학 : '괴물'과 '근원적 세계'를 중심으로
- 이창우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306 p., 2015
-
84
-
한국 주류 상업영화 『히말라야』와의 비교를 통한 중국 신주류영화 『등반가(攀登者)』 읽기와 중국 신주류영화에 대한 단상
-
유경철;
고려대학교;
(한중언어문화연구,
v.0,
2023,
pp.359-388)
-
85
-
Comparative Studies of presenting new information between novels and its film adaptation movies ─ focusing on controlling viewpoint of recipients ─
-
이, 해미;
;
(日本學硏究 = Japanese studies,
v.59,
2020,
pp.141-166)
-
86
-
Study on character building strategy of transmedia storytelling - Focusing on the movie “With God” -
-
Seo, Seongeun;
;
(인문콘텐츠 = Humanities contens,
v.2018,
2018,
pp.69-91)
-
87
-
신자유주의 사회의 여성 주체 재현의 가능성과 한계 -영화 <여교사>를 중심으로
-
이윤종;
;
(구보학보,
v.0,
2019,
pp.575-603)
-
88
-
신종교영화의 유형과 특성
-
박종천;
고려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33,
2019,
pp.179-218)
-
89.
- 웹툰에서 영상매체로 전환 시 일어나는 서사변화와 인물변화에 대한 비교분석 : 드라마 ‘타인은 지옥이다’, 영화 ‘신과 함께-죄와 벌’을 중심으로
- 진현수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8 p., 2021
-
90
-
매체 전환과 스토리텔링의 관계 고찰- 웹툰 「신과 함께」와 영화 〈신과 함께〉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
-
주민재;
명지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9,
pp.161-1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