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1건 중 161건 출력
, 9/17 페이지
-
81
-
실기문학 속 사실체험 공간으로서의 바다 - 『노송당일본행록』, 『표해록』, 『월봉해상록』을 대상으로 -
-
김미선;
전남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16,
pp.35-62)
-
82
-
실기문학 속 사실체험 공간으로서의 바다 - 『노송당일본행록』, 『표해록』, 『월봉해상록』을 대상으로 -
-
김미선;
전남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16,
pp.35-62)
-
83
-
The Contemporary Representation of the ‘New Kumkang Mountain Paintings’
-
宋憙暻;
송희경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36,
2013,
pp.141-165)
-
84.
- 15세기 回禮使 宋希璟에 關한 硏究 : .日本行錄을 中心으로
- 문종선
-
전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6, 1993
-
85
-
공자 고사의 시각화 - 기기도(欹器圖) 연구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6,
pp.263-290)
-
86
-
淸陰 金尙憲의 歷史 意識 - 詩文學을 중심으로
-
송희경;
대전지족고등학교 교사;
(漢文古典硏究,
v.29,
2014,
pp.181-217)
-
87
-
18세기 전반 회화의 새 경향 -정선(鄭敾) 고사인물화(故事人物畵)의 유형과 그 표상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17,
2009,
pp.219-254)
-
88
-
1970년대 국전의 인물화 - 동양화 구상부 입상작 중심으로 -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11,
pp.559-592)
-
89
-
정선이 그린 정호⋅정이 고사인물화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1,
pp.239-275)
-
90
-
일본인이 그린 通信使 ―癸未使行에서 제작된 朝鮮文士像을 중심으로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10,
pp.221-2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