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,026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開化期 民謠의 社會詩學的 考察
-
金榮喆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37,
2009,
pp.233-259)
-
82
-
민요의 時ㆍ空性
-
좌혜경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10,
2002,
pp.279-296)
-
83
-
민요여음고(民謠餘音考)
-
진동혁;
;
(국어국문학,
v.36,
1967,
pp.59-69)
-
84
-
「20곡의 헝가리 민요집」 중 벨라 바르톡의 독창민요 편곡가곡 연구: 바르톡의 헝가리 민요 분류법에 의한 바르톡의 민요편곡가곡과 그에 상응하는 원전민요 비교고찰
-
조길자;
성신여자대학교;
(이화음악논집,
v.13,
2009,
pp.1-35)
-
85
-
민요 사설에 형상화된 동물에 대한 인식
-
정규식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4,
2008,
pp.163-191)
-
86
-
대화체 민요의 존재양상과 소통미학
-
이옥희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1,
2007,
pp.155-179)
-
87
-
민요 데이터의 정보처리 구도와 자료분류 표준화 방안
-
김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14,
2004,
pp.11-48)
-
88.
- 『조선민요 1000곡집』분석을 통한 함경도 민요 연구
- 김영은
-
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6 p., 2008
-
89
-
韓國民謠 音樂的特徵의 哲學的意味 硏究
-
최헌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7,
2009,
pp.261-281)
-
90
-
“디아스포라” 민요와 민요의 “디아스포라”- 한국민요 ‘아리랑’과 아일랜드 민요 “대니 보이” 비교연구
-
조성원;
서울여자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3,
pp.329-3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