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59건 중 359건 출력
, 9/36 페이지
-
81
-
전으로서의 소설과 전통의 미학 -이문구의 『매월당 김시습』 읽기-
-
양진오;
대구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3,
2009,
pp.365-388)
-
82
-
1457년 김시습의 行迹과 心境
-
이승수;
황인건;
김미애;
민선홍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한양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,
v.0,
2020,
pp.267-300)
-
83
-
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사적 흐름과 제 양상
-
이홍식;
한양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6,
2013,
pp.259-290)
-
84
-
김시습 시의 ‘自然聲에 의한 破夢’ 모티브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한국한시연구,
v.0,
2008,
pp.195-225)
-
85
-
<취유부벽정기>의 삽입 시와 서사 구조
-
박일용;
홍익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8,
pp.421-462)
-
86
-
구우와 김시습의 창작심리 비교- ≪전등신화≫와 ≪금오신화≫의 여귀형상을 중심으로 -
-
전순남;
구미대학교;
(중국어문학,
v.0,
2021,
pp.115-143)
-
87
-
매월당 김시습의 백이 이해와 그 의미
-
이홍식;
한양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3,
pp.265-296)
-
88
-
김시습의 호남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
-
김재웅;
경북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12,
pp.405-436)
-
89
-
김시습 문학사상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
-
안동준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04,
pp.255-280)
-
90
-
지식의 재구성과 김시습의 법화경 읽기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7,
pp.67-9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