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4건 중 214건 출력
, 9/22 페이지
-
81
-
김광균 시에 나타난 '황혼'의 의미 탐색
-
박지학;
전북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16,
pp.120-142)
-
82
-
Q & A
-
김광균;
;
(지반환경 = Geoenvironmental Engineering,
v.11,
2010,
pp.49-51)
-
83
-
김광균 시에 드러난 헤테로토피아로서의 ‘황혼’
-
박지학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75,
2020,
pp.191-216)
-
84
-
김광균의 『瓦斯燈』연구 - 조형기호학적 관점으로
-
윤수하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51,
2011,
pp.195-215)
-
85
-
김광균의 시론과 지평융합적 시의식
-
김석준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08,
pp.29-57)
-
86
-
김광균 시 연구― 이미지의 조형성을 중심으로
-
박민영;
성신여자대학교;
(돈암어문학,
v.23,
2010,
pp.153-179)
-
87
-
쉴드 TBM 터널에서 피난연결통로(Cross-Passage) 설계 및 공법선정에 대한 고찰
-
김광균;
김성환;
이재국;
(주)삼안;
(주)삼안;
(주)삼안;
(자연, 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= Magazine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,
v.26,
2024,
pp.46-62)
-
88
-
여로의 감각과 생활의 의미:김광균론
-
박민규;
고려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4,
pp.153-190)
-
89
-
김광균 시의 ‘결여’에 대한 인지시학적 고찰
-
이승철;
전북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4,
pp.209-240)
-
90
-
김광균 시의 인물 형상화와 죽음의식
-
박민규;
고려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14,
pp.247-2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