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88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전환기시대의 브라질 군수산업 -탈냉전적 국제정세, 냉전적 전략 및 군사기술-
-
김광열;
배재대학교;
(대한정치학회보,
v.10,
2002,
pp.137-160)
-
82
-
4세기 동북아 국제정세와 고구려 고국원왕의 생애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4,
pp.1-37)
-
83
-
3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정책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07,
pp.1-40)
-
84
-
G2시대 중국의 국제정세 인식과 외교안보 전략
-
이문기;
세종대학교;
(아시아연구,
v.15,
2012,
pp.53-81)
-
85
-
시진핑 시대 중국의 변화 전망과 동북아 국제정세의 변화 가능성
-
총성의;
성신여자대학교;
(대한정치학회보,
v.20,
2013,
pp.155-177)
-
86
-
국제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국제정세 인식과 외교전략 - ‘공세외교’ 논란을 중심으로
-
이문기;
;
(중국연구,
v.52,
2011,
pp.471-491)
-
87
-
북한신문의 국제뉴스 내용분석 : 당 대외정책과 국제정세선전의 관계를 중심으로
-
김경모;
연세대학교;
(한국언론정보학보,
v.31,
2005,
pp.9-50)
-
88
-
북한 외교정책의 변화 추이: 국제정세의 변화를 중심으로
-
성병욱;
부산외국어대학교;
(국제정치연구,
v.12,
2009,
pp.51-74)
-
89
-
7세기 중엽 국제정세 변동과 고구려 대외관계의 추이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대구사학,
v.133,
2018,
pp.151-193)
-
90
-
12세기 전반기의 국제정세와 고려-금 관계 정립
-
박윤미;
숙명여자대학교;
(사학연구,
v.0,
2011,
pp.1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