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92건 중 1,000건 출력
, 89/100 페이지
-
881
-
「분지」를 읽는 몇 가지 독법 - 남정현의 소설 「분지」와 1960년대 중반의 이데올로기들에 대하여
-
김건우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상허학보,
v.31,
2011,
pp.253-282)
-
882
-
한국 현대지성사에서 ‘한신(韓神)’이 가지는 의미
-
김건우;
대전대학교;
(상허학보,
v.42,
2014,
pp.501-531)
-
883
-
규장각의 문서제도와 그 위상
-
김건우;
전주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12,
pp.175-202)
-
884
-
한성부 家契와 공인중개인 家儈에 관한 고찰
-
김건우;
한국학중앙연구원;
(古文書硏究,
v.30,
2007,
pp.189-213)
-
885
-
한국문학의 제도적 자율성의 형성 - 대학 제도를 중심으로 -
-
김건우;
서울산업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0,
pp.177-200)
-
886
-
갑오개혁기 공문식과 공문서의 변화
-
김건우;
전주대학교;
(古文書硏究,
v.29,
2006,
pp.137-162)
-
887
-
1573년 寧海 務安朴氏 武毅公(朴毅長) 宗宅의 閪失告身立案
-
김건우;
한국학중앙연구원;
(古文書硏究,
v.32,
2008,
pp.203-207)
-
888
-
선우휘의 ⟨십자가 없는 골고다⟩ 론 - 한국사회 공론영역의 변화와 관련하여
-
김건우;
포항공과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07,
pp.225-246)
-
889
-
존재 위백규의 향촌 계몽활동과 그 의미
-
김건우;
전주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12,
pp.129-149)
-
890
-
조선후기 어느 지역민의 지방관 인식 - 구상덕의 『승총명록』을 중심으로 -
-
김건우;
전주대학교;
(古文書硏究,
v.45,
2014,
pp.77-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