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92건 중 1,000건 출력
, 88/100 페이지
-
871
-
라이터(B. Leiter)의 자연화된 법리학의 의의와 사상적 원천
-
김건우;
서울대학교;
(법과사회,
v.0,
2013,
pp.145-174)
-
872
-
갑오개혁기 공문식과 공문서의 변화
-
김건우;
전주대학교;
(古文書硏究,
v.29,
2006,
pp.137-162)
-
873
-
한국문학의 제도적 자율성의 형성 - 대학 제도를 중심으로 -
-
김건우;
서울산업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0,
pp.177-200)
-
874
-
존재 위백규의 향촌 계몽활동과 그 의미
-
김건우;
전주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12,
pp.129-149)
-
875
-
토착 지성의 해방 전후-김범부와 함석헌을 중심으로
-
김건우;
대전대학교;
(상허학보,
v.36,
2012,
pp.55-85)
-
876
-
「분지」를 읽는 몇 가지 독법 - 남정현의 소설 「분지」와 1960년대 중반의 이데올로기들에 대하여
-
김건우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상허학보,
v.31,
2011,
pp.253-282)
-
877
-
하트의 내적 관점이란 무엇인가?
-
김건우;
서울대학교;
(법철학연구,
v.16,
2013,
pp.113-142)
-
878
-
『관서문답록』의 간행과정과 훼판시비
-
김건우;
전주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05,
pp.5-34)
-
879
-
무엇을, 얼마나, 어떻게 자연화할 것인가: 라이터(Brian Leiter)의 야심차면서도 신중한 자연화 기획
-
김건우;
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;
(법철학연구,
v.17,
2014,
pp.189-224)
-
880
-
1960년대 담론 환경의 변화와 지식인 통제의 조건에 대하여
-
김건우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1,
pp.135-15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