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327건 중 1,000건 출력
, 87/100 페이지
-
861
-
Salicylate를 생분해하는 pseudomonas putida의 특성
-
홍순우;
하영칠;
이계준;
배경숙;
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(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= 미생물학회지,
v.24,
1986,
pp.51-56)
-
862
-
Levan으로부터 Levanheptao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분리 및 배양
-
임영순;
강수경;
강은정;
이태호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(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= 미생물학회지,
v.34,
1998,
pp.37-42)
-
863
-
음식물 쓰레기 분해에 대한 고온성 미생물의 영향
-
이외수;
정지현;
박유미;
설경조;
김사열;
경북대학교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생물건강.농업생명인재양성누리사업단;
경북대학교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미생물학과;
(한국미생물·생명공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,
v.34,
2006,
pp.363-367)
-
864
-
큰느타리버섯 유전체내 LTR Retrotransposon 유전자 탐색 및 특성연구
-
김신일;
레귀방;
김선미;
노현수;
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(한국균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,
v.42,
2014,
pp.50-56)
-
865
-
전리방사선 및 자외선의 미생물 돌연변이와 DNA 손상에 대한 영향
-
남지현;
신지혜;
이정윤;
이동훈;
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(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= 미생물학회지,
v.53,
2017,
pp.20-28)
-
866
-
흰넓적다리붉은쥐 유래 한타바이러스 분리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 비교
-
송기준;
윤형선;
고은영;
정기모;
박광숙;
이용주;
송진원;
백락주;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고려대학교 바이러스병연구소;
고려대학교 대학원;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고려대학교 바이러스병연구소;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고려대학교 바이러스병연구소;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고려대학교 바이러스병연구소;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고려대학교 바이러스병연구소;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고려대학교 바이러스병연구소;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고려대학교 바이러스병연구소;
(대한바이러스학회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virology,
v.30,
2000,
pp.19-28)
-
867
-
Kluyveromyces fragilis의 LEU gene의 Cloning
-
박성희;
이동선;
우주형;
김종국;
홍순덕;
경북대학교자연과학대학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자연과학대학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자연과학대학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자연과학대학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자연과학대학미생물학과;
(산업미생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,
v.18,
1990,
pp.305-308)
-
868
-
한국환자유래의 녹농균 90-2-2205로부터 S형 Pyocin의 정제 및 특성
-
김란숙;
이정미;
박영덕;
진익렬;
김병오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(산업미생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,
v.21,
1993,
pp.132-138)
-
869
-
한국환자유래의 S형 Pyocin 생성균주 Pseudomonas aeruginosa 90-2-2205의 분리 및 Pyocin 생산
-
김란숙;
이정미;
김병오;
박영덕;
진익렬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(산업미생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,
v.21,
1993,
pp.125-131)
-
870
-
Tsukamurella sp. 26A에 의한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
-
최경숙;
김순한;
정영기;
장경립;
이태호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(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= 미생물학회지,
v.33,
1997,
pp.187-1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