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7건 중 927건 출력
, 81/93 페이지
-
801
-
하우프트만의 자연주의 드라마에 나타난 미혼모와 영아살해
-
노영돈;
중앙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7,
2005,
pp.291-311)
-
802
-
통일전환기의 시적 극복. 두어스 그륀바인의 두개골 밑바닥 학습에 대하여
-
전영애;
서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6,
2005,
pp.63-76)
-
803
-
Die Verwandlung des Bösen - Zur Christus-Trilogie Patrick Roths
-
김임구;
서울대학교;
(카프카 연구,
v.0,
2009,
pp.83-107)
-
804
-
배우의 수행적 연기와 객체성에 관한 연구 - 연극 <황금용> 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-
-
장찬호;
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예술전문사;
(연기예술연구,
v.35,
2024,
pp.1-21)
-
805
-
브레히트 전집(작품집)에 대한 서지학적 텍스트 비판
-
이승진;
원광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20,
pp.7-32)
-
806
-
포스트식민주의 연극에서의 역사 재현: 이브라힘 후세인의 『킨제케틸레』 읽기
-
박정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아프리카 학회지,
v.67,
2022,
pp.47-74)
-
807.
- 근대 사회와 시간, 역사, 그리고 개인: 로베르트 발저의 소설 『탄너가의 남매들』
- 차하늘
-
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69p., 2019
-
808
-
심훈의 장편소설에 나타나는 ‘사랑의 공동체’ ― 무로후세 코신[室伏高信]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
-
권철호;
서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4,
pp.179-209)
-
809
-
마를레네 슈트레루비츠 - 기억 강탈에 대한 반대와 말로 하지 못한 것의 역사에 대한 찬성-쪼 Tolmezzo와 슬로언 스퀘어 Sloane Square를 예로
-
Agnese, Barbara바바라 아그네제;
빈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07,
pp.329-350)
-
810
-
90년대 문학에 나타난 기독교적 이념의 재도래에 관해- 페터 한트케의 『불멸을 위한 준비』를 중심으로
-
김임구;
서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6,
2005,
pp.256-2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