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4건 중 194건 출력
, 8/20 페이지
-
71
-
일본의 윤이상: “동아시아 작곡가”로서 윤이상
-
이경분;
서울대학교;
(음악과 문화,
v.0,
2011,
pp.71-98)
-
72
-
다중영상시스템으로 구현한 무대 위의 큐비즘 - <윤이상을 만나다>를 중심으로 -
-
변혁;
;
(기초조형학연구,
v.17,
2016,
pp.171-182)
-
73.
- 윤이상의 GARAK과 한국 전통 음악 기법의 비교 연구 : 플룻과 대금가락 중심으로
- 박장원
-
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9p., 2001
-
74
-
윤이상의 교성곡『나의땅, 나의민족이여!』에 관하여
-
정유하;
전남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7,
2007,
pp.253-290)
-
75
-
음악과 이주: 윤이상을 통해 본 경계선의 문화정치학
-
윤신향;
독립연구자;
(音.樂.學,
v.0,
2007,
pp.101-145)
-
76
-
미완의 귀향, 윤이상 음악의 한국 수용
-
이희경;
한국예술종합학교;
(음악과 문화,
v.0,
2018,
pp.61-90)
-
77
-
특집: 윤이상 통영 베를린-윤이상 탄생 100주년 기념 심포지움 논문: 동·서양 문화 극복 차원에서 살펴본 윤이상 음악의 정체성
-
한인숙;
;
(음악과 현실,
v.0,
2018,
pp.65-91)
-
78
-
생각한다: 윤이상 데려오기
-
홍정수;
장로회신학대학교;
(음악과 현실,
v.0,
2017,
pp.5-7)
-
79
-
고향과 고국 사이: 윤이상과 비판적 지역학의 과제
-
최유준;
전남대학교;
(음악과 현실,
v.0,
2022,
pp.133-164)
-
80
-
음악과 이주: 윤이상을 통해 본 경계선의 문화정치학
-
윤신향;
독립연구자;
(音.樂.學,
v.0,
2007,
pp.101-1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