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1건 중 141건 출력
, 8/15 페이지
-
71
-
4·18고대생시위 주체의 정체성과 사회운동 전개 -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-
-
허은;
고려대학교;
(史叢(사총),
v.0,
2010,
pp.37-75)
-
72
-
1950년대 ‘주한 미공보원'(USIS)의 역할과 문화전파 지향
-
허은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03,
pp.8-262)
-
73
-
1980년대 상반기 학생운동체계의 변화와 학생운동 문화의 확산
-
허은;
고려대학교;
(史叢(사총),
v.0,
2013,
pp.159-216)
-
74
-
1970년대 박정희 정부의 총력안보체제 구축과 학교의 역할
-
허은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5,
pp.425-455)
-
75
-
1950년대 후반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미국의 한국 농촌사회 개편 구상
-
허은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04,
pp.275-312)
-
76
-
박정희정권하 사회개발 전략과 쟁점
-
허은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0,
pp.213-248)
-
77
-
박정희 정부시기 농촌사회 재편과 지역 총력안보체제 구축 - 구성면 면정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-
-
허은;
고려대학교;
(史叢(사총),
v.0,
2015,
pp.31-75)
-
78
-
‘전후’(1954~1965) 한국사회의 현대성 인식과 생활양식의 재구성
-
허은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4,
pp.287-326)
-
79
-
냉전시대 남북 분단국가의 문화정체성 모색과 ‘냉전 민족주의’
-
허은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1,
pp.209-243)
-
80
-
냉전시대 미국정부의 ⟨자유세계⟩ 발간과 ‘자유 동아시아’의 형성
-
허은;
고려대학교;
(아세아연구,
v.58,
2015,
pp.101-14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