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
-
여성문학사 시대구분의 문제와 조선
-
이경하;
서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0,
pp.89-113)
-
72
-
‘해양문학’, 10년의 연구 성과와 발전을 위한 제언
-
남진숙;
동국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20,
pp.47-82)
-
73
-
일본과 중국에서의 한문원전정리와 한문고전의 현대역
-
심경호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화,
v.30,
2007,
pp.29-92)
-
74
-
「四庫全書總目提要」의 ‘凡例’와 ‘案語’ 연구 - 「凡例二十則」의 譯注를 중심으로
-
趙永來;
;
(書誌學硏究=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,
v.53,
2012,
pp.111-153)
-
75
-
「四庫全書總目提要」의 ‘凡例’와 ‘案語’ 연구 - 「凡例二十則」의 譯注를 중심으로 -
-
조영래;
경희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2,
pp.111-153)
-
76
-
연세대 소장 유서 및 한자어휘집의 가치
-
심경호;
고려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9,
pp.1-88)
-
77
-
중국의 최근 고조선·부여사 연구 현황과 평가
-
조원진;
한양대학교(ERICA캠퍼스) 문화재연구소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22,
pp.49-89)
-
78.
- 주제명 표목의 패싯 구조화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
- 최윤경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, 200 p., 2015
-
79.
- 중국어의 예의 용어 및 그 문화적 함의
- 김명숙
-
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04, [101] p., 2012
-
80.
- 朝鮮初期 官撰 註解書의 文獻學的 硏究
- 노요한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07 p., 20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