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6건 중 106건 출력
, 8/11 페이지
-
71.
- 2000년대 한국 다문화소설 연구 : 이주민 재현 양상과 문학적 지향성을 중심으로
- 최남건
-
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03 p., 2014
-
72.
- 작품 내용 분석을 통한 아동 다문화문학 선정 기준 탐색
- 김부경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3
-
73.
- 탈북청소년의 가족 경험
- 임성민
-
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, 국내박사,
xii, 419 p., 2022
-
74
-
‘경계인’의 인권과 문학의 인권감수성: 아동청소년문학에 재현된 경계인의 인권
-
김경민;
경상국립대학교;
(기억과 전망,
v.0,
2022,
pp.98-133)
-
75
-
문학과 사회, 그리고 문학연구 - 상허학회 20주년과 국문학 연구
-
강진호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7,
2013,
pp.11-45)
-
76
-
탈북여성B의 구비설화에 대한 이해 방식과 자기서사
-
박재인;
건국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3,
pp.291-324)
-
77
-
탈북여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남한정착과정의 타자정체성연구- 이대환의 『큰돈과 콘돔』과 정도상의 『찔레꽃』을 중심으로
-
이성희;
부산대학교;
(여성학연구,
v.23,
2013,
pp.77-96)
-
78
-
설화 <내 복에 산다>의 재창작을 통한 탈북 청소년의 문해력 신장 사례 연구
-
나지영;
건국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2,
pp.151-176)
-
79.
- 디아스포라문학 연구 : 첨부작품을 중심으로
- 김재영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96 p., 2009
-
80.
- 북한 정권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: 허위의식과 관용개념을 중심으로
- 최규남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66 p.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