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5건 중 165건 출력
, 8/17 페이지
-
71
-
독일 타이포그래피의 역사 안티크바-프락투어 논쟁을 중심으로
-
최경은;
연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3,
2012,
pp.369-395)
-
72
-
매체의 발전과 '텍스트' 개념의 변화
-
최경은;
;
(독어교육,
v.34,
2005,
pp.251-268)
-
73
-
구텐베르크 서적 인쇄술 발명의 사회문화적 배경
-
최경은;
연세대학교;
(독어교육,
v.51,
2011,
pp.499-518)
-
74
-
문자의 유통 - 18, 19세기 독일의 대여도서관 제도를 중심으로 -
-
최경은;
연세대학교;
(인문과학,
v.106,
2016,
pp.41-60)
-
75
-
성서에 나타난 노인 토포스
-
최경은;
연세대학교;
(유럽사회문화,
v.0,
2016,
pp.87-116)
-
76
-
독일 언어정화주의 담론의 역사- 17세기부터 1945년까지
-
최경은;
연세대학교;
(유럽사회문화,
v.0,
2018,
pp.187-212)
-
77
-
종교개혁기의 삽화
-
최경은;
연세대학교;
(유럽사회문화,
v.0,
2017,
pp.167-193)
-
78
-
시대비판을 위한 매체로서 루터성서(1534) 삽화
-
최경은;
연세대학교;
(유럽사회문화,
v.0,
2014,
pp.56-82)
-
79
-
독일영화에 나타난 이주민
-
최경은;
;
(유럽사회문화,
v.1,
2009,
pp.35-68)
-
80
-
문자사용의 규범화 과정 - 독일어 명사 대문자 표기를 중심으로 -
-
최경은;
연세대학교;
(독어교육,
v.58,
2013,
pp.107-1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