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
-
百濟 定林寺址 石塔 下部 軸基部 版築土의 性格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0,
pp.125-158)
-
72
-
회암사지 전 영당지의 건축고고학적 검토와 그 성격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지방사와 지방문화,
v.19,
2016,
pp.111-140)
-
73
-
백제 웅진기 대통사 창건 수막새의 형식과 계통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산학보,
v.0,
2019,
pp.327-360)
-
74
-
익산지역 백제 건축유적에서 보이는 새로운 토목·건축 기술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마한백제문화,
v.28,
2016,
pp.153-179)
-
75
-
공주 반죽동 추정 대통사지 발굴조사 내용과 성과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19,
pp.5-30)
-
76
-
百濟 泗沘期 木塔 築造技術의 對外傳播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8,
pp.341-376)
-
77
-
천안지역 고려사지 현황과 향후 과제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7,
pp.83-112)
-
78
-
中國 魏晋南北朝時代 莊嚴具를 통해 본 5~6世紀代 有刺利器의 性格 再檢討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산학보,
v.0,
2017,
pp.251-280)
-
79
-
공주지역의 穴寺와 그 활용 방안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18,
pp.27-57)
-
80
-
기와와 遺跡 事例로 본 百濟 熊津期 大通寺 佛殿 지붕과 처마의 形式 檢討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문화사학,
v.0,
2020,
pp.5-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