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18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19세기 조선 학자의 자연 철학에 관하여: 최한기의 기륜설을 중심으로
-
김선희;
;
(철학사상,
v.0,
2016,
pp.75-114)
-
72
-
안확의 ‘조선’ 인식과 ‘조선철학’
-
이행훈;
한림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16,
pp.171-200)
-
73
-
북한의 최한기 철학 독법과 한계 - ‘조선철학사’ 서술의 변화와 특징을 중심으로 -
-
이행훈;
한림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23,
pp.177-214)
-
74
-
[특집 해방 60년, 우리 속의 식민지 한국철학 4] 다카하시 도오루의 조선 유학관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논의
-
김기주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3,
2005,
pp.209-224)
-
75
-
Becoming Sage in Women Confucian Janggyehyang of the Joseon Dynasty
-
최재목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37,
2014,
pp.143-175)
-
76
-
A Study on Wonhyo’s Hwajaeng Thought in North Korea - Focusing on ‘Hwajaeng Thought’ and ‘(Hwajaeng) Dialectics’ Found in Han, Myeong-hwan’s (2010)『History of Joseon Philosophy』(2) -
-
Kim, Won-Myoung;
;
(哲學 = Korean journal of philosophy,
v.157,
2023,
pp.41-66)
-
77
-
How did a Korean Scholar of the Chinese Classics Read the Translations of Western Philosophy in Early Twentieth Century: A Case of Jeon Byeon-hun’s Jeongsin Cheolhak Tongpyeon
-
Soh, Jean-hyoung;
;
(韓國思想史學,
v.70,
2022,
pp.41-73)
-
78
-
조선후기 기철학의 성격
-
허남진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90,
pp.449-468)
-
79
-
‘철학’과 조우한 조선 지식인의 자기 이해와 변화 — 전병훈, 『정신철학통편』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—
-
백민정;
가톨릭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24,
pp.49-95)
-
80
-
동양 철학에서의 소리의 속성과 감성 유형 -중국의 악론과 조선의 천기론을 중심으로
-
길태숙;
연세대학교;
(감성과학,
v.13,
2010,
pp.215-2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