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4건 중 924건 출력
, 8/93 페이지
-
71
-
근대여성의학교육과 도시 공간: 조선여자의학강습소와 경성여자의학강습소를 중심으로
-
이연경;
연세대학교;
(의료사회사연구,
v.15,
2025,
pp.43-76)
-
72.
- 조선시대 藥茶 연구 : 醫學書籍과 承政院日記를 중심으로
- 김종오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78 p., 2010
-
73.
- 1934년 조선 한의학 부흥 담론에서 나타난 한의학 정체성의 근대적 재구성
- 전혜리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7 p., 2010
-
74
-
조선후기 세시풍속과 의학 - 『醫方合編』 月行을 중심으로 -
-
오준호;
;
(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,
v.26,
2013,
pp.75-84)
-
75
-
조선 의가 이규준의 『황제내경』 의학 계승 - 『의감중마』 「계경장부편」을 중심으로 -
-
오재근;
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(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,
v.28,
2015,
pp.71-95)
-
76.
- 朝鮮時代 王들의 疾炳治療를 通해 본 醫學의 變遷
- 김정선
-
서울대학교, 국내박사,
iii, 147 p., 2005
-
77
-
조선시대 宮中의 出産風俗과 宮中醫學
-
신명호;
국사편찬위원회;
(古文書硏究,
v.21,
2002,
pp.199-226)
-
78
-
조선후기 세시풍속과 의학 - '의방합편(醫方合編)' 월행(月行)을 중심으로 -
-
오준호;
한국한의학연구원;
(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,
v.26,
2013,
pp.75-84)
-
79
-
조선 시대 의학서 언해류에 나타난 분류사의 종류와 기능
-
석주연;
조선대학교;
(우리말글,
v.51,
2011,
pp.29-49)
-
80
-
일제강점기 조선 여자 의사들의 활동 - 도쿄여자의학전문학교 졸업 4인을 중심으로
-
최은경;
;
(코기토,
v.80,
2016,
pp.287-3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