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
-
조선조 문인의 蘇東坡詩 수용과 평가
-
조규백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5,
pp.153-182)
-
72
-
朝鮮時代文人對蘇東坡詩文的“受容”及其蘇東坡觀
-
조규백;
제주관광대;
(영남학,
v.0,
2006,
pp.259-281)
-
73
-
‘고려, 조선조에서의 소동파 수용’에 관한 연구개황 - 1964~2015년 기간을 중심으로 -
-
조규백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보,
v.0,
2015,
pp.231-256)
-
74
-
소동파 문학의 현장 속으로(1-2)
-
조규백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어문학,
v.0,
2016,
pp.267-272)
-
75
-
≪東坡志林≫ 譯註 (2)
-
조규백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어문논역총간,
v.0,
2010,
pp.353-372)
-
76
-
朝鮮朝 漢文學에 나타난 蘇東坡 前後 「赤壁賦」의 受容과 ‘赤壁船遊’의 再演
-
조규백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연구,
v.0,
2014,
pp.127-147)
-
77
-
申緯의 蘇東坡 受容 및 그 意義
-
조규백;
한국외국어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2,
pp.164-191)
-
78
-
≪東坡志林≫ 譯註 (1)
-
조규백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어문논역총간,
v.0,
2010,
pp.613-635)
-
79
-
고려시대 문인의 蘇東坡 詩文 受容 및 그 意義(2)
-
조규백;
제주관광대;
(영남학,
v.0,
2007,
pp.183-214)
-
80
-
조선조 문인의 蘇東坡 인물 및 산문에 대한 평가
-
조규백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2,
pp.235-2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