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1건 중 111건 출력
, 8/12 페이지
-
71
-
전우치(田禹治) 전승의 굴절과 반향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9,
pp.213-239)
-
72
-
전기소설 삽입시의 미감 초기소설의 양식화와 그 서사적 맥락에 대한 지표로써
-
정환국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5,
pp.69-97)
-
73
-
?설공찬전(薛公瓚傳)? 파동과 16세기 소설인식의 추이
-
정환국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25,
2004,
pp.38-63)
-
74
-
초기 笑話의 역사성과 그 성격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2,
pp.205-240)
-
75
-
대한제국기 계몽지식인들의 '구국주체' 인식의 궤적
-
정환국;
동아시아학술원;
(사림,
v.0,
2005,
pp.1-25)
-
76
-
한국 초기서사의 복수(複數) 구도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5,
pp.147-182)
-
77
-
홍경래란을 바라보는 시선
-
정환국;
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동악어문학,
v.0,
2010,
pp.5-38)
-
78
-
李鈺에게 있어서 ‘여성’-여성 소재 글쓰기의 성격에 대하여-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3,
pp.251-281)
-
79
-
삼국유사의 인용자료와 이야기의 중층성―초기 서사의 구축형태에 주목하여―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23,
2006,
pp.121-148)
-
80
-
‘寃鬼’와 『金鰲新話』: 조선 초 寃魂敍事의 형성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35,
2012,
pp.303-3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