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59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Self-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Discourse Reflected in Travel
-
Jeon, Seong-wook;
;
(人文學硏究 :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42,
2020,
pp.413-448)
-
72
-
가람 이병기(李秉岐)의 교육 사상: 양계초(梁啓超)의 영향을 중심으로
-
이경애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75,
2020,
pp.293-331)
-
73
-
이병기 시조의 이미지와 율격 연구-이미지즘 이론을 바탕으로-
-
이순희;
경북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14,
pp.219-246)
-
74
-
근대 서지학자로서의 가람 이병기 연구 - 전집본 『가람일기』(전5권)를 중심으로 -
-
이민희;
강원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5,
pp.131-173)
-
75
-
A Study on Jinam Lee Byung-hun’s View and Space Perception toward Modern Hong Kong - Focusing on 『Joonghwa-yoogi(中華遊記)』
-
Han, Gil-Ro;
;
(로컬리티 인문학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8,
2022,
pp.85-112)
-
76
-
「삼관여록(三官餘錄)」에 나타난 가람이병기의 학문과 인생관
-
이경애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58,
2015,
pp.429-450)
-
77
-
1940년대 시인의 한시 국역 양상과 의미-김억, 양주동, 이병기, 박종화, 정태진을 중심으로-
-
정소연;
이화여자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8,
pp.167-201)
-
78
-
노래하는 민족, 읽는 서정: 최남선과 이병기의 시조론 재고(再考)
-
최현식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185-219)
-
79
-
『가람 이병기 전집』 간행을 위한 자료 정리 및가람학 정립의 방향 연구
-
이경애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64,
2017,
pp.243-279)
-
80
-
한글문예운동과 근대 서정시의 규범 만들기: 이병기의 시조혁신론
-
조별;
성신여자대학교;
(돈암어문학,
v.27,
2014,
pp.185-2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