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8건 중 378건 출력
, 8/38 페이지
-
71
-
포괄의 언어와 복합성의 생태학 - 이문구의 『관촌수필』론
-
우찬제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0,
2011,
pp.83-109)
-
72
-
이문구의 「해벽(海壁)」에 나타난 근대화 프로젝트와 탈식민주의
-
송명희;
부경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2,
2008,
pp.237-262)
-
73
-
이문구 소설어와 충남 방언
-
한영목;
충남대학교;
(우리말글,
v.35,
2005,
pp.149-178)
-
74
-
1970년대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의 ‘양가성’ 연구 - 이문구, 조세희를 중심으로
-
김인경;
;
(人文硏究,
v.59,
2010,
pp.37-62)
-
75
-
근대문명의 폭력과 고향 - 이문구의 소설을 중심으로
-
Kim, Hyeon-jung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3,
2013,
pp.121-146)
-
76
-
이문구의 「해벽(海壁)」에 나타난 근대화 프로젝트와 탈식민주의
-
송명희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2,
2008,
pp.237-262)
-
77
-
이문구 콩트의 창작전략 연구
-
안용주;
경상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0,
pp.295-318)
-
78
-
이문구 소설의 근대성 인식 - 『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』를 중심으로
-
이도연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49,
2010,
pp.285-301)
-
79
-
1960년대 도시문화와 폐허 이미지 - 이문구의 『장한몽』 연구 -
-
오창은;
중앙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9,
pp.269-301)
-
80.
- 이문구의 「장한몽」 연구
- 이은숙
-
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3 p., 20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