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615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.
- 이광수 장편소설의 연애관 연구 : 『무정』『 재생』『 흙』『사랑 을 중심으로
- 쩐티란 아잉
-
韓國學中央硏究院, 국내박사,
iii, 158 p., 2019
-
72
-
[특집논문 / 춘원 이광수] 이광수 초기 소설 연구 - 결핍의 양상과 그 해소로서의 『무정』의 의미
-
문한별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6,
2005,
pp.111-130)
-
73
-
1930ㆍ40년대 ‘동경삼재(홍명희, 최남선, 이광수)’의 일제 협력과 저항
-
류시현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14,
2010,
pp.277-306)
-
74.
- 이광수와 루쉰 소설에 나타난 현실의식 비교 연구
- 곡초
-
명지대학교 인문대학원, 국내석사,
ii, 53 p., 2017
-
75
-
이광수 「원효대사」의 기문학적 특질 연구 - 생태학적 특성을 중심으로
-
한승옥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28,
2003,
pp.237-263)
-
76.
- 이광수 소설의 탈성화 양상 연구 : 동지애·금욕·호모섹슈얼리티 양상을 중심으로
- 송상덕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62 p., 2024
-
77
-
일제 식민지 근대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
-
김종수;
;
(韓國文化,
v.50,
2010,
pp.105-121)
-
78.
- 교육연극을 활용한 장편소설 교육방안 : 이광수 '무정'을 중심으로
- 김보람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6 p., 2015
-
79
-
1940년대 어문정책하 이광수의 이중어 글쓰기 연구
-
김경미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53,
2008,
pp.41-74)
-
80
-
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의 근대성
-
권희영;
;
(코리안이마고 = Korean Imago,
v.2,
1998,
pp.105-1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