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8/11 페이지
-
71
-
朝鮮時代 農書의 地域的 刊行의 意義
-
소순열;
이선아;
전북대학교;
한국고전문화연구원;
(농업사연구,
v.5,
2006,
pp.33-48)
-
72
-
일제하 수도작 기술체계의 변화와 성격
-
소순열;
이두순;
전북대학교;
두레친환경농업연구소;
(농업사연구,
v.2,
2003,
pp.79-103)
-
73
-
농촌노인복지서비스의 사회연결망 구조 비교분석:농촌건강장수마을을 중심으로
-
강미영;
소순열;
농촌진흥청;
전북대학교;
(농업경영.정책연구,
v.43,
2016,
pp.152-177)
-
74
-
농업생산자조직 리더의 리더십 역량이 조직 활성화와 소득에 미치는 영향
-
황영모;
소순열;
전북발전연구원;
전북대학교;
(농업경영.정책연구,
v.38,
2011,
pp.731-755)
-
75
-
경주마 산업 클러스터와 지역경제의 활성화 - 일본 훗사이도 히다카 지역의 사례 -
-
소순열;
김재욱;
전북대학교;
전북대학교;
(농업경영.정책연구,
v.33,
2006,
pp.217-241)
-
76
-
1차원 유체모델을 이용한 CF4 RF 플라즈마의 과도응답 특성
-
소순열;
임장섭;
훗가이도대학교;
목포해양대학교;
(전기학회논문지 C권,
v.53,
2004,
pp.24-29)
-
77
-
근대 익산의 농업환경과 농민운동
-
엄지범;
소순열;
전북대학교;
전북대학교;
(지역사회연구,
v.28,
2020,
pp.119-141)
-
78
-
1970년대의 새마을운동과 마을사회의 변화 - 「일기」를 통해서 본 ‘참여’와 ‘동원’의 메카니즘 -
-
소순열;
이성호;
전북대학교;
전북대학교;
(지역사회연구,
v.26,
2018,
pp.45-68)
-
79
-
전북 근대 농업사 연구 현황과 전망
-
임혜영;
소순열;
군산대학교;
전북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24,
pp.109-136)
-
80
-
Development and Applcation of Evaluation Indices for Managerial of Farmers
-
유찬주;
이기웅;
소순열;
전북대학교;
순천대학교;
충북대학교;
(농업경제연구,
v.45,
2004,
pp.155-1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