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,369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도남서원(道南書院)의 강회(講會)와 강학(講學)
-
김정운;
경북대학교;
(한국서원학보,
v.0,
2023,
pp.7-40)
-
72.
- 지역 인문문화자원으로서 서원의 활용에 관한 연구 - 광주 월봉서원을 중심으로 -
- 백옥연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84, 2022
-
73
-
紹修書院 任事錄 연구
-
송정숙;
부산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07,
pp.103-127)
-
74
-
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
-
김자운;
충남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6,
pp.121-158)
-
75.
- 書院 勃興期 朝鮮 士林의 書院認識
- 안민엽
-
국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0 p., 2008
-
76
-
Tradition of Sahak(私學) in Ancient and Medieval Korea Leading Up to the Appearance of Seowon(書院)
-
Yi, Gwang-woo;
;
(韓國書院學報 = The journal of korean seowon studies,
v.10,
2020,
pp.33-66)
-
77
-
Establishment of Isan Seowon(伊山書院) in Yeongju and the Meaning of Ancestral Rites for Toegye(退溪) Lee Hwang(李滉)
-
Kim, Eui-hwan;
;
(韓國書院學報 = The journal of korean seowon studies,
v.15,
2022,
pp.179-224)
-
78.
- 수도서원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고찰 : 수도서원 예식서(Ordo Professionis Religiosae)를 중심으로
- 김태완
-
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2 p., 2012
-
79
-
A Study on Sacrificial Rite of Seo-won in the Joseon Dynasty
-
Han, Jae-hoon;
;
(韓國書院學報 = The journal of korean seowon studies,
v.17,
2023,
pp.165-206)
-
80
-
회규를 통해서 본 명대의 서원 강회 제도
-
박종배,;
;
(敎育史學硏究,
v.21,
2011,
pp.81-1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