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1건 중 151건 출력
, 8/16 페이지
-
71.
- 백두산 폭발 대비 방안 연구
- 신옥란
-
군산대학교, 국내석사,
, 2023
-
72
-
백두산 화산 폭발에 따른 초국경환경피해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
-
송병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아주법학,
v.15,
2021,
pp.326-349)
-
73
-
백두산 화산분화로 인해 천지에서 발생 가능한 화산홍수
-
이길하;
김성욱;
유순영;
김상현;
대구대학교 토목공학과;
주식회사 GI;
국가수리과학연구소 계산수학연구부;
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;
(한국지구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,
v.34,
2013,
pp.492-506)
-
74
-
백두산 화산 관련 연구 동향- 휴화산/활화산 논쟁과 관련하여 -
-
박경;
성신여자대학교;
(한국지형학회지,
v.20,
2013,
pp.117-131)
-
75
-
일본의 화산감시 및 분화대응 특성
-
장은숙;
한중대학교 공학부 토목환경공학전공;
(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,
v.2011,
2011,
pp.188-188)
-
76
-
중국의 '백두산공정'과 대응
-
문상명;
동북아역사재단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22,
pp.331-369)
-
77
-
백두산 관련 구비전승 설화의 신화적 성격 -이주민 화자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-
-
신동흔;
건국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24,
pp.163-222)
-
78
-
Sentinel-1 위성의 영상 분류 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천지의 얼음 면적 변화 탐지
-
박성재;
엄진아;
고보균;
박정원;
이창욱;
강원대학교 스마트지역혁신학과;
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;
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;
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;
(한국지구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,
v.41,
2020,
pp.31-39)
-
79
-
백두산 빙하지형의 존재 가능성과 제4기 화산활동과의 관계
-
이성이;
성영배;
강희철;
최광희;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과;
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;
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;
국립환경과학원;
(대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,
v.47,
2012,
pp.159-178)
-
80
-
백두산과 길림지역의 동굴 현황 - 중국동굴탐사 활동을 중심으로 -
-
윤정모;
서울산업대학교;
(洞窟 : 한국동굴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peleological society,
v.67,
2005,
pp.81-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