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106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해방기를 보는 두 개의 문학적 시선 혹은 인식 -채만식의 「미스터 방」‧ 염상섭의 「양과자갑」에 대한 인물분석-
-
신승희;
가천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44,
2017,
pp.89-124)
-
72
-
과학 기술 문명의 발전과 문학교육의 대응: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본 지능정보사회 시 교육의 한 가능성
-
김정우;
정소연;
박유진;
편지윤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6,
pp.77-120)
-
73.
- 문학 교과서의 젠더 감수성 연구
- 김유석
-
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0 p., 2019
-
74.
- 몸과 정신의 일원론적 분열 방식과 소설 창작기법 연구
- 여미애
-
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6 p., 2014
-
75.
- 일제강점기 한반도 간행 단카(短歌)와 하이쿠(俳句)연구 : 1930년대 '조선색(朝鮮色)' 담론과 창작물을 중심으로
- 김보현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08장, 2013
-
76.
- 광인일기의 창작기법연구
- 김도희
-
경희대학교, 국내석사,
91 p., 2010
-
77.
-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세계 인식과 문학적 특질
- 김윤희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i, 302 p., 2010
-
78
-
재만(在滿)작가 김창걸 소설에 나타난 ‘식민지 파시즘’
-
김학면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2,
2007,
pp.201-229)
-
79.
- 「한후룡전(韓厚龍傳)」의 교수·학습 방안 연구 : 장애 인식개선을 중심으로
- 이승언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ⅶ ,178, 2024
-
80.
- 다야마 가타이(田山花袋) 연구 : 『만선의 행락(満鮮の行楽)』을 중심으로
- 노윤지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7 p., 2020